최근에 새로운 컴퓨터를 사려고 이리저리 견적을 내보았는데, non-free binary blob/firmware가 하나도 필요하지 않도록 구입해보자는 생각이 들어 한번 시도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거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니더군요.. 직접 조립하고 언제나처럼 Debian Sid를 설치했습니다.

Debian/Ubuntu에는 vrms 프로그램이 있는데, 컴퓨터에 설치된 패키지를 검사해서 non-free가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이게 정확히는 FSF 가이드라인이 아니라 데비안 자유 소프트웨어 가이드라인(DFSG)을 따르는데, 가령 데비안에서는 GFDL도 경우에 따라 non-free로 구분하는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는 “vrms”라는 이름이 조금 잘못된 감이 있죠. 어쨌거나 저는 Debian 기준에서의 free를 목표로 했으니 실행해 보았습니다.

$ vrms
No non-free or contrib packages installed on napa!  rms would be proud.

성공! 여기까지 도달하는 데에 겪은 것들과 기타 참고 자료를 정리합니다.

GPU

저는 그래픽 카드를 당장은 안 사고 일단 하스웰의 내장 그래픽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드라이버가 최신이 아니라서 Gnome 3가 fallback 모드로 동작했는데, experimental 드라이버를 설치하니 잘 동작합니다.

사실 그래픽 카드는 FOSS 입장에서 가장 고르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위키백과에 현황이 정리되어 있는데, 읽어보면 꽤 복잡하죠.

특히 Nvidia는 예전부터 리눅스 드라이버 지원이 엉망이기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이에 대해 Linus Torvalds가 Nvidia에게 비판을 하기도 했고요. 리누스 덕분인지 최근 들어 다시 리눅스 드라이버 개발이 계속 이루어지는 모양이지만, 오픈소스 nouveau 드라이버를 지원하는 건 아니고 non-free 드라이버입니다. 최근의 Phoronix 벤치마크도 참고하세요.

ATI는 Nvidia에 비교하면 그나마 오픈 소스를 잘 지원하는 편입니다: 최근의 Phoronix 벤치마크를 보니 Gallium3D 드라이버가 독점 드라이버에 가까운 성능을 내는 것 같네요. 하지만 ATI 장비를 사용하려면 non-free 펌웨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텔 그래픽은 오래 전부터 오픈 소스를 잘 지원해 온 편이긴 하지만, Intel GMA 같은 예외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시중에서 판매하는 대부분의 메인보드에서는 이더넷 통신에 Realtek Gigabit Ethernet (RTL8111/RTL8168) 칩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조금 난감했는데.. 본래 이 칩은 non-free 펌웨어를 필요로 합니다. 조금 찾아보니 펌웨어가 없어도 사용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글들을 접하여 한번 그들을 믿어보고 Realtek 8111G가 달린 보드를 구매했습니다.

r8169 0000:03:00.0: firmware: agent aborted loading rtl_nic/rtl8168g-2.fw (not found?)
r8169 0000:03:00.0 eth0: unable to load firmware patch rtl_nic/rtl8168g-2.fw (-2)

역시 “rtl8168g-2.fw” 펌웨어가 없다는 경고가 뜨네요. (드라이버 소스) 다행히 펌웨어가 없어도 잘 동작합니다.

Wi-Fi의 경우는 더 어려운 게, 특히 802.11n부터는 상당수 제품이 binary blob을 요구합니다. 데비안 WiFi 위키위키백과 비교 표를 참고해서 구매해야겠죠..

2013-12-06 추가: Atheros의 AR9271/AR7010 칩은 ath9k_htc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여기에 들어가는 펌웨어가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이 칩은 FSF의 Respect Your Freedom에서 인증을 받기도 했습니다. (RYF의 심사 대상에 펌웨어의 자유도 여부가 있습니다.) 다행히, 해당 칩을 사용하는 제품을 그리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데비안에는 아직 공개 펌웨어가 올라오지 않아서.. 직접 빌드했습니다. (펌웨어를 빌드하기 위해 먼저 크로스 컴파일러부터 빌드하는데, gcc 4.8로 gcc 4.7을 빌드하다가 에러가 나더군요. 툴체인 업그레이드 픽스를 적용했습니다.) 펌웨어를 설치한 후 이런저런 설정을 하여 현재 AP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노트북 / 소형 기기

노트북이나 핸드폰의 경우 사실상 완제품으로밖에 구할 수 없기 때문에, non-free binary blob을 피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WiFi 같은 건 별도 하드웨어를 구매하면 되겠지만 아무래도 돈이 아까운 느낌이 있죠.

시중 노트북 중에 완전히 free한 게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libreplanet의 목록에는 쉽게 구할 수 없는 것밖에 없는데.. 저 목록에는 Lemote Yeelong 기기가 소개되어 있는데, 이게 바로 Richard Stallman이 쓰는 기기입니다.

Android는 오픈 소스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코드를 빌드하여 기기에 실행하려면 그래픽 등의 독점 바이너리가 필수적입니다. (게다가 바이너리조차도 제때 올라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요. 이것 때문에 오늘 aosp 메인테이너인 JBQ가 그만두겠다고 밝혔습니다.) Nexus 제품도 바이너리가 별도로 제공되고요. Replicant라는 프로젝트는 안드로이드에서 non-free 의존성을 빼는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Replicant 4.0이 진행중이네요.

Raspberry Pi의 경우에도 ARM 기반 SoC이고, 당연히 펌웨어가 필요합니다. (코덱 칩을 쓰려면 코덱 라이선스도 구매해야 합니다.)

참고 링크

FSF에서 요구하는 Free System Distribution 조건을 만족하는 리눅스 배포판이 몇 가지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것 외에도 다음의 자료에서 도움을 받았습니다.